목록전체 글 (248)
S E P H ' 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2JQ6X/btshhKl81oc/h8bnfnVXGT2D8oE9m58Bmk/img.jpg)
애플의 앱 빌드를 자동으로 깃헙과 연결하여 진행해주는 CI/CD 툴이다. 아직은 베타라고는 하지만 그동안 프로파일링이니 뭐니 복잡했던 앱 배포 과정을 상당히 간단하게 또 별도의 CI/CD 툴 없이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은 굉장히 큰 장점이다. 하지만 pod 기반, npm 기반 패키지 의존성 설치를 ci_post_script라는 폴더와 sh 파일을 별도로 만들어서 스크립트를 작성해줘야 한다. 이 또한 그러려니 하고 넘길 수 있다. 문제는 React Native의 CSS 엔진인 Yoga (C++ 코드로 작성되어있다.) 의 코드 문제에서 발생했다. 이는 패키지 의존성 설치를 할때 자동으로 설치가 되는데 현재 이 코드를 xCode cloud에서 빌드하기 전에 고칠 방법이 없다. 버전을 변경해서 설치해야 할 것 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THP9/btsg25cBFfb/mkklFRpHUSN27GkEqm91d1/img.jpg)
Spring AOP Spring AOP에 대한 이해를 위해 지난 포스트 에서는 AOP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디자인 패턴을 알아보면서 어떤 식으로 개선을 해왔는지 알아봤다. 하지만 결국 마지막 정리 부분에서 말했듯이 프록시 패턴이나 데코레이터 패턴을 사용하더라도 부가 기능을 도입하고자 하는 클래스의 개수만큼 필요한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동적 프록시 적용 (JDK 동적 프록시, CGLIB, ProxyFactory) 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Spring AOP 용어 이해가 필요하다. AOP 란? AOP는 로직을 볼때, 핵심적인 관점과 부가적인 관점을 나누어 보고 그 관점을 기준으로 모듈화를 한다고 했었다. 다음 그림을 보자. 그림과 같이 클래스 A, B, C에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jMheB/btsgQqh4Cll/hMc3twux30KX0FeJ4Ms0X1/img.jpg)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제한 사항에 n이 10의 7승까지 주어진다. 문제에 주어진 그대로 풀이를 하면 (10^7) * (10^7)의 2차원 배열이 되기 때문에 메모리 초과, 시간 초과가 난다. 2차원 배열의 행들을 잘라 하나의 1차원 배열로 만들때 left ~ right 까지의 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1차원 배열로 만든다는 구문에서 일정한 규칙을 찾아 그에 해당하는 값들만 뽑아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처음 주목했던 것은 left 값에 따라서 처음 시작하는 값이 변한다는 것이었다. (어차피 left 부터 right값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RJM6/btsguCWimPs/9gd67MeiJwltfQJAppISD1/img.jpg)
Spring AOP 지난 포스트에서는 Spring의 핵심 3대 요소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AOP 에 대해서 더 깊이 있게 다뤄볼 것이다. Spring에서 AOP 를 적용하는데에 있어 생각보다 단순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많이 복잡할 것이지만 차근차근 하나씩 개념을 짚어나가보면 좋을 것 같다. AOP에 대한 기초 개념은 지난 포스트에서 다뤘기 때문에 더 깊이 있는 내용들을 위주로 다뤄보겠다. 크게 AOP에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과 용어 및 적용 방식 등과 같이 두 가지로 챕터를 나눠서 정리할 것이다. AOP 와 프록시 패턴, 데코레이터 패턴 AOP는 로직을 볼때, 핵심적인 관점과 부가적인 관점을 나누어 보고 그 관점을 기준으로 모듈화를 한다고 했었다. 다음 그림을 보자. 그림과 같이 클래스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