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48)
S E P H ' S

코딩테스트 연습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두 수 3, 12의 programmers.co.kr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하고 최소공배수는 두 수의 곱에 최대공약수를 나눈 값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었다. 유클리드 호제법의 설명은 다음 링크에 정리했다. 유클리드 호제 유클리드 호제법은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일반적으로 최대공약수를 구하려면 소인수분해를 해야한다. 1112 = 139 X 2 X 2 X 2 695 = 139 X 5 두 수를 소인수분해한 후, 공통된 소 yoseph0310...

유클리드 호제법은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일반적으로 최대공약수를 구하려면 소인수분해를 해야한다. 1112 = 139 X 2 X 2 X 2 695 = 139 X 5 두 수를 소인수분해한 후, 공통된 소수를 찾으면 된다. 이를 통해 두 수의 최대공약수는 139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소인수분해로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은 수가 커질 수록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나머지 연산인 MOD 연산을 사용한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하면 쉽게 최대공약수를 구할 수 있다. x,y 두 수가 있을 때, x,y의 최대공약수는 y,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는 원리를 사용한다. 즉, x에는 y를 y에는 x%y를 대입하여 0이 되는 순간 y의 값이 최대공약수인 것이다. x % y = r 일때, GCD(x,y)..

코딩테스트 연습 - 콜라츠 추측 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 주어진 수가 1이 될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 programmers.co.kr def solution(num): answer = 0 # num 이 처음부터 1인 경우 if num == 1: return 0 while True: num = num / 2 if num % 2 == 0 else num * 3 + 1 answer += 1 if num == 1: return answer if answer == 500: return -1 return answer

코딩테스트 연습 - 하샤드 수 양의 정수 x가 하샤드 수이려면 x의 자릿수의 합으로 x가 나누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18의 자릿수 합은 1+8=9이고, 18은 9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8은 하샤드 수입니다. 자연수 x를 입력받아 x가 하 programmers.co.kr def solution(x): strx = str(x) n = 0 for i in strx: n += int(i) if x % n == 0: answer = True else: answer = False return answer 다른 풀이 def solution(x): return x % sum([int(n) for n in str(x)])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