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 (39)
S E P H ' S

API URL 설계 시 포인트 URL 설계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리소스 식별이다. 리소스란 ? 동작을 제외한 자원 그 자체를 리소스라한다. 회원 등록 시스템을 예로 들면, 회원을 등록하거나 수정 혹은 삭제하는 행위는 리소스가 아니다. 오직 회원이라는 개념만이 리소스라 할 수 있다. 리소스 기반의 회원 관리 URL 설계 동작은 HTTP 메소드로 구분한다. (Ex: GET, POST, PUT, PATCH, DELETE, ...) 회원 목록 조회 : GET /members 회원 조회 : GET /members/{id} 회원 등록 : POST /members 회원 수정 : PUT /members/{id} 회원 삭제 : DELETE /members/{id} HTTP 메소드 GET 리소스 조회에 사용. 서버에 전달..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처음에는 문서간 링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사용했지만 현재는 모든 것을 전송한다. HTML, TEXT IMAGE, Media, File JSON, XML ETC 기반 프로토콜 TCP : HTTP/1.1, HTTP/2 는 TCP 기반이다. UDP : HTTP/3 현재는 대부분 HTTP/1.1을 사용하는데, HTTP/2, HTTP/3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TCP 통신은 3 way handshake 때문에 신뢰성과 연결성은 보장하지만, 이 과정에 걸리는 시간만큼 속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HTTP/3에서는 UDP 프로토콜을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재설계를 해서 속도를 높혔다. 특징 1.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클라이언트는 요..

URI, URL, URN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과 URN(Uniform Resource Name)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자원의 위치와 이름을 모두 포함한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자원이 있는 위치를 지정한다. URN(Uniform Resource Name) : 자원에 이름을 부여한다. 위치(Locator)는 변할수 있지만 이름(Name)은 변하지 않는다. URN은 사실상 잘 사용되지 않는다. URL 분석 Format : scheme://[userinfo@]host:[:port][/port][/path][?query][#fragment] Example : https://goog..

OSI 7계층과 TCP/IP 프로토콜 스택 OSI 7계층, TCP/IP 프로토콜 스택 모두 계층형 구조로 네트워크를 설명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두 계층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OSI 표준 모델은 장비 개발과 통신 자체를 어떻게 표준으로 잡을지 사용되는 반면, 실질적인 통신을 설명할 때는 TCP/IP 모델을 주로 사용한다. OSI 7계층 7계층부터 1계층 까지 Application Layer(응용 계층), Presentation Layer(표현 계층), Session Layer(세션 계층),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Network Layer(네트워크 계층), DataLink Layer(데이터링크 계층), Physical Layer(물리 계층) 으로 이뤄져있다. 상위 계층은 개발자..